K-주소 브랜드화
한국형 주소의 위상을 높이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합니다.
우리나라는 2014년에 도로명주소를 전면 시행하면서 여러 장점을 주소체계에 반영해 다른 국가들보다 정확한 위치표시가 가능한 한국형 주소체계를 갖게 되었습니다. 건물·사물·공간 등 어디서나 위치 표시가 가능하도록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주소 기반 드론배송 등 4차 산업혁명을 지원하는 기반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습니다. 어디서나 위치 표시가 가능하고 뛰어난 위치 예측성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형(K) 주소체계를 국제표준에 반영하고,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과 세계화를 지원합니다.
K-주소 운용·활용 표준화 지원
한국형주소(K-주소)의 운용기준과 신기술 적용 등 활용 기준을 마련하고 국제표준에 반영하여 K-주소 브랜드화
-
주소정보 참조모델 표준화
-
「주소정보 업무편람」과 국제표준(ISO 19160) 등을 고려하여 한국형 주소정보의 개념과 구현방법에 관한 기준 마련
-
한국형 주소정보기반의 주요요소(문자형/객체형) 구조체계의 공통 기준을 규정하는 참조모델 표준화
-
주소 부여 방식 및 언어적 요소(용어, 문장구조, 개념 관계 등)의 정의를 위한 주소 구성요소의 공통 구현 기준 마련
-
지능형 주소정보 확장 및 시스템 간 연계, 메타데이터 확장 등을 위한 공통된 데이터 구조 및 데이터 세트 구현의 요구사항 정의
*문자형 데이터 : 특별자치시·도 / 특례시 / 행정시 / 시·군·구 등 *객체형 데이터 : 건물(폴리곤) / 도로구간(라인) / 출입구(포인트) 등
-
-
-
주소정보 활용모델 표준화
-
제품사양 표준, 주소 표준의 데이터 융합·활용성 검증을 위한 실증 등 주소정보 활용에 관한 기준 마련
-
서비스별 데이터 구조·타입, 코드화 규정 등 활용서비스 중심의 데이터 표준화로 주소정보의 산업분야 확산 지원
-
주소정보의 다양한 산업 분야의 융합을 위한 표준 개발 및 실증을 통한 활용성 검증
-
신규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구현 시 주소정보 표준 활용 지원
-
-
-
K-주소 브랜드화 및 국제표준화 확산
-
K-주소의 산업계 우수사례 발굴 및 ISO (19160) 국제표준화 추진, OGC 등의 워킹그룹 모니터링 및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K-주소의 우수사례에 대한 국제표준 확산 등 국내·외 표준화 확산을 통한 K-주소 위상 제고
*OGC (Open Geospatial Consortium) : 공간정보 콘텐츠와 서비스, 데이터 처리와 교환을 위한 표준 개발과 지원을 하는 비영리 민 · 관 참여 GIS관련 국제기구
-
K-주소 해외 진출 지원
판로개척부터 협력사업 발굴, K-주소의 우수성을 기반으로 글로벌 홍보 강화 등 국내 주소정보산업의 체계적인 해외 진출 지원
-
K-주소 해외 진출 협의체 운영
-
K-주소 적용 타깃국가 협력사업 우수사례 발굴
-
개도국 공무원 대상 국가별 주소체계 현대화를 위한 K-주소 맞춤형 교육
-
해외 진출 유망 민간기업 전문분야별 체험형 홍보 콘텐츠 개발 (영문 기업 홍보 동영상, 영문 리플릿 및 브로슈어 등)
최종수정일2023-09-08
-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